우리나라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5개월째 자연감소 하고 있다.

올 1분기 출생아 수는 1분기 기준 역대 최소인 7만 명대로 떨어졌다. 한 여성이 평생 낳을 수 있는 자녀의 수를 나타내는 합계출산율이 0.90명밖에 되지 않는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3월 인구동향'은 저출산 현상의 고착화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문제는 출산율 하락이 앞으로도 지속돼 인구감소가 본격화 할 것이라는 데 있다.

합계출산율이 1분기 기준 1명 아래로 추락한 건 분기 기준 출산율 집계를 시작한 2009년 이후 처음이다. 합계출산율이 0명대로 떨어진 국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우리나라가 유일하다니 지나칠 일이 아니다.

올 3월 출생아 수는 2만4378명인데 반해 사망자는 2만5879명으로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가 훨씬 많다. 인구 자연증가분이 -1501명을 기록한 것이다. 부부가 평생 1명의 자녀도 낳지 않는다면 인구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인구감소가 국가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굳이 설명하지 않겠다. 정부와 지자체가 신경을 쓰지 않은 것도 아니다. 지난 14년 동안 저출산 고령화에 쏟아 부은 재원이 무려 200조원에 달한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고도 인구가 자연 감소하는 걸 보면 인구정책의 궤도수정이 불가피하다. 충남도만 하더라도 저출산 극복을 민선 7기 역점시책으로 추진했지만 인구감소세가 16개월 째 이어지고 있다. 2018년 12월 정점을 찍은 후 매월 500명 가량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인구감소는 지방도시의 소멸로 이어진다. 도시 기능을 유지하는 최소한의 인구조차 없으면 도시는 사라지고 말 것이다. 충청지역 여러 읍면이 이미 인구소멸 지역으로 분류됐다. 지자체마다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는 등 나름 노력하고 있으나 한계가 있다.

삶의 질 개선과 같은 생활의 근본적인 변화가 있어야 하나 쉽지 않다. 인구감소는 당장엔 큰 영향이 없을지 몰라도 미래 세대에겐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다.

저작권자 © AI라이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