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AI 시대의 떠오르는 3가지 연구 분야(스마트 섬유, 소프트 로보틱스, 단일원자촉매)와 신소재로 제시된 2차원 소재 모식도.(KAIST 제공)/뉴스1
포스트 AI 시대의 떠오르는 3가지 연구 분야(스마트 섬유, 소프트 로보틱스, 단일원자촉매)와 신소재로 제시된 2차원 소재 모식도.(KAIST 제공)/뉴스1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스마트 섬유, 인공근육, 그리고 단일원자촉매를포스트 인공지능 시대의 주요 신소재로 제안했다.

포스트 AI 시대는 4차 산업혁명의 이후로,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새로운 시대를 의미한다.

6일 KA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포스트 AI시대의핵심 신소재로 스마트 섬유, 인공근육, 단일원자촉매를 제시했다.

앞으로의 포스트 AI 시대에서는 인공지능이 다양한 기기들과 통합되어 우리주변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리게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발전은 현실세계와 사이버세계가 융합되어 현실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시대를 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트 AI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를 위한 스마트 섬유, 소프트로보틱스를 위한 인공근육, 환경친화적인 에너지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단일원자촉매등 AI의 한계를 보조하고 보완할 수 있는 신소재의 혁신이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실용적인 기술의 확보가 시급하다.

연구팀은 스마트 섬유 개발의 원천소재인 그래핀 산화물 액정성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또 소프트 로보틱스 분야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한 헤라클레스 인공 근육 개발 그리고 세계 최초로 단일원자촉매를 발견하는 등 미래 신소재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김상욱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뉴스1
김상욱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뉴스1

김상욱 교수는 "인공지능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이후의 포스트 AI 시대는신소재 기반의 사물 혁신이 중요해질 것"이라며 "그래핀과 같은 2차원 소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ˮ고 말했다.

KAIST 응용과학연구소 이강산 박사가 제1 저자로 참여하고 KAIST 신소재공학과 수치스라 파드마잔 사시카라 연구교수와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임준원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리더 연구자 지원사업인 다차원 나노 조립제어 창의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팀의 성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명예의 전당 특집 리뷰논문으로 게재됐다.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명예의 전당 초청논문은 신소재 분야의 세계적인석학들을 매우 엄격한 기준에 따라 선정, 그 미래 연구방향을 소개하는 권위있는 특집 논문이다.

저작권자 © AI라이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