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불균형 해소 [뉴스1]
빅데이터로 불균형 해소 [뉴스1]

금수저와 흙수저, 서울과 지방, 여성과 남성,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서로 다른 집단 간 격차를 구체적 숫자로 보여주는 사회통합 지표가 개발될 것으로 보여 주목을 끌고 있다.

여러 부처에 흩어진 데이터를 연결해 ‘지방과 수도권 청년의 소득이동 추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유병률 차이’ 같은 실질적인 지표가 이르면 내후년 말에 나오게 된다.

장관이 사회부총리를 겸하고 있는 교육부에서 새 사회통합지표를 만든다. 교육부는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사회통합지표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는 양극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려면 제대로 된 진단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새 지표체계는 격차와 통합 수준을 ▷소득‧자산 ▷고용 ▷교육 ▷주거 ▷건강‧위험 영역으로 나누어 들여다본다.

지금도 ‘국가발전지표’와 ‘국민 삶의 질 지표’ 같은 국가지표체계가 있긴 하지만, 사회통합에 중점을 둔 지표는 아니다. 국가발전지표에서는 16개 영역 중 하나로 사회통합이 포함돼 있고, 그 내용으도 부패인식·사회단체 참여율 등이다.

국민 삶의 질 지표는 11개 차원 중 시민참여를 포함하는데, 투표율·대인 신뢰도 등이다.

또 광명시는 빅데이터를 이용해 지역별 생활SOC 불균형 해소에 나선다.

광명시는 ‘빅데이터 활용모델 개발사업’ 결과 보고회를 개최해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정책 활용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생활SOC’란 학교·어린이집·공원·도서관 등 시민의 일상적 편익과 안전을 증진시키는 각종 시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사업은 지난해 6월 경기도 빅데이터 활용모델 개발 공모사업에 광명시가 제출한 ‘광명시 지역별 생활SOC 불균형 해소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제가 선정되면서 전액 도비로 추진됐다.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생활SOC 시설 관련 경기도 및 광명시 내부 데이터와 민간 정보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고, 18개 동을 대상으로 생활SOC 역량을 분석하는 빅데이터 활용모델을 개발했다.

이어 최근에는 골목상권과 소상공인을 위해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화성시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과 함께 빅데이터로 골목상권과 소상공인 살리기에 나선 것이다.

시는 시청 접견실에서 도내 31개 시·군 중 가장 먼저 경상원과 ‘소상공인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운영’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소상공인 빅데이터 플랫폼은 업종별 상가·점포 정보, 인허가, 개폐업율, 생존율, 상권, 임대 시세, 지역화폐 거래 및 사용금액, 유동인구 현황 등 20여 종의 데이터가 제공되며, 화성시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로’를 통해 오는 2022년 3월부터 서비스될 예정이다.

이는 관내 소상공인부터 예비 창업자까지 시민 누구나 쉽게 양질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 본인이 속한 상권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마케팅 성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업종 변경이나 신규 창업 시 실패를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AI라이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