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으로 방제작업을 하는 모습. [뉴스1]
드론으로 방제작업을 하는 모습. [뉴스1]

세계경제포럼(WEF) 의 작년 ‘위기 회복력을 위한 데이터 기반 식품 시스템’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여파로 농업을 보다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데 기술이 사용돼야 하며, 새로운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혁신 생태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혁신 생태계’는 혁신을 주도하는 기술 분야의 사람들이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들과 함께 반복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발생된 지역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생성, 확장해가는 것이 목표다.

작년부터 코로나19로 전 세계적인 여행 제한이 시행됨에 따라 외국인 계절 근로자들이 국경을 넘지 못한 이유로 과수원들이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드론과 농업에 드론을 적극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은 사단법인 우리기술진흥법인(초경량무인비행교육원)과 농업용 드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22일 농식품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업무협약에는 농식품공무원교육원 김덕호 원장과 우리기술진흥법인 정형균 대표이사가 참석해 농업용 드론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디지털 뉴딜 기반조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교육원은 2018년부터 농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이 결합된 농업드론교육을 125명에게 실시한 바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스마트농업에 농사용 드론 보급이 확대되는 시기에 양 교육기관 간의 업무협력을 통해 체계적으로 전문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태안군도 고령화된 농촌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론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군은 ‘2021년 농업용 드론 지원사업’으로 2억 원을 들여 올해 총 10대의 드론을 농가에 보급한 뒤 필요에 따라 매년 지속적으로 늘려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가세로 태안군수의 공약사항으로 추진되고 있는 드론 지원 사업은 적은 노동력으로 단시간에 공동방제를 실시, 일제 방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작했다.

군에 따르면 사람이 직접 방제하는 경우 3300㎡ 기준 1시간 정도가 걸리는데 드론으로 방제하면 10분이면 가능해 노동력 절감효과가 탁월하다. 더불어 드론의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강한 바람으로 벼 아랫부분까지 방제하는 효과까지 있다.

한편, 오는 3월부터 드론 안정성 인증 제도가 시행되지만, 인증검사가 폭증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의원은 22일 국토교통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무인동력 비행 장치(드론) 안전성 인증 검사가 폭증하고 있지만,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개정된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다음 달 1일부터 드론 안전성 인증제도를 시행한다.

드론 안전성 인증제 도입 과정에서 항공안전기술원과 사전 협의를 통해 발생할 문제에 대한 대책이 마련됐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안정성 인증 검사 출장소 설치 및 검사 인력 확충이 완료될 때까지 드론 국가 자격제도 도입 유예를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드론 시장에 대한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AI라이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