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감정을 추출하여 매일 감정을 기록하는 서비스. 출처=뉴스1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감정을 추출하여 매일 감정을 기록하는 서비스. 출처=뉴스1

감성 지능기술 기반의 미래산업 창출과 효율적인 동영상 요약 서비스 개발을 위한 공공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에 KAIST가 주도적으로 나선다.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박주용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의 감정을 인지할 수 있는 감성 기술과 지능형 영상 요약기술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통해 코로나 이후 새로운 인공지능산업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현재 인공지능은 질병 진단과 자율운전 등 인간의 기계적인 움직임과 판단력을 보완하는 영역에서 활용 폭을 넓히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미묘한 감정 표현 인식처럼 기계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감성 지능' 기술의 국내 수준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고 평가받고 있다.

박 교수 연구팀의 `감성 인식 인공지능 공공DB 구축사업'은 △과기정통부한국정보화진흥원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2차)' 사업예산 △KAIST 주도 컨소시엄의 민간투자금 등 모두 46억원의 재원으로 운용된다.

이를 위해 일반인과 전문배우 등 약 2500명의 자발적 참여자로부터 감정 학습을 위한 얼굴 데이터 수집과 함께, K-pop과 K-드라마 등의 세계적 성공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영상 데이터 확보에 나선다.

이 사업은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이 주관하고 △메트릭스리서치 △액션파워 △소리자바 등이 공동연구기관으로, 대홍기획이 수요기관으로 참여한다.

이밖에 한국 소비자 광고심리학회가 자문하는 이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데이터베이스, 인공지능 학습모델, 프로그래밍 코드 등 모든 연구결과는 공공재이기 때문에 누구나 연구와 사업에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박주용·이원재·남주한 교수팀과 리콘랩스, 아트센터 나비미술관은 △사용자의 심리적 건강을 추적할 수 있는 심리 일기장 △음악 영상의 하이라이트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 △서비스 사용자의 반응을 감지할 수 있는 앱 등 이번 사업을 통해 구축예정인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각종 응용 서비스를 설계하고 실험할 계획이다.

박주용 교수는 "인간 감정을 이해하는 미래 인공지능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고품질의 공공데이터 확보가 필수ˮ라면서 "일상 사진을 공유하며 공감대를 찾는 소셜미디어 시대의 문화에 힘입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세계적 팬데믹으로 인한 위기 극복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KAIST의 당연한 책무ˮ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AI라이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