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뉴스1
출처=뉴스1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제조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을 도입해야 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4일 전국 259개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제조 데이터 활용 실태 및 분석 수요 조사'를 실시한 결과, 88.8%가 제조 데이터 활용 제고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고 22일 밝혔다.

조사 결과 스마트공장 내 제조 데이터 수집 비중은 △각종 센서 장비·시스템을 통한 자동 수집(43.3%) △바코드·PDA·터치스크린 등 데이터 직접 입력(39.1%) △업무 일지·엑셀 등 수기 작성(17.3%) △기타(0.4%)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조 데이터가 활용되는 곳은 △실시간 모니터링(69.5%) △수요예측·불량 등 원인분석(42.9%) △고객사가 요구하는 공정 품질 분석 자료(34.7%) 등 순이었다.

또한 기업들이 제조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도입함으로써 기대하는 효과는 △불량률 감소(66.5%) △원가 절감(62.2%) △생산량 증대(50.0%) △수요 예측(32.6%) 등이었다.

한편 정부가 구상 중인 '데이터 인프라 구축 사업'의 구축 과제로는 '제조 데이터 자동 수집 체계 확충'을 꼽은 응답자가 43.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운영 주체'(39.8%), '업종 전문가·컨설턴트 확보'(37.1%) 순이었다.

또한 응답 기업의 57.2%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에 투자할 의향이 있음을 밝히는 등 정부의 제조 빅데이터 사업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승원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의 핵심 전략인 리쇼어링의 요체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스마트공장의 고도화"라며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기업의 88.8%가 제조 데이터를 실제 활용하면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데 이번 조사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 추진과 관련해 중소기업들이 지속가능성과 업종 전문성 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업종의 전문성 확보와 더불어 공통 제조공정의 데이터 분석 및 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어야 한다"며 "정부가 중앙회 및 협동조합 등 사업자 단체의 참여를 적극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AI라이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