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가계와 기업 대출이 크게 늘면서 대출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 2월부터 4월까지 석달 간 기업(자영업자 포함)과 가계가 은행에서 75조4000억원의 대출을 새로 받아갔다. 대출증가 폭은 1년 전 대비 3.4배에 달한다. 기업대출이 특히 많이 늘었다. 4월 말 기준 기업대출액은 1월 말 대비 51조7000억원이나 불어났다. 이중 16조8000억원이 자영업자 대출이다.

가계의 대출증가액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배 이상 수준이다. 코로나19 사태로 매출 하락, 수입 감소 등으로 고통받는 기업과 가계가 결국 은행으로 달려갔고, 일단 은행 대출로 버틴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같은 증가세가 앞으로 이어질 것이란 점이다. 코로나19 재확산 조짐에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로 대출 부담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자연히 대출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아직까진 연체율은 양호한 수준이지만 대출로 버티는 상황이 장기화하면 결국 빚을 갚지 못하는 경제주체가 속출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실제로 올 2월부터 4월까지 갚아야할 대출을 갚지못해 만기연장이나 상환유예 조치를 받은 대출이 16만9000건에 이른다. 자금 규모로 따지만 34조9000억원에 달한다. 경제가 심각한 상황임을 고려하면 이르면 2분기, 늦어도 3분기부터 대출 부실화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상황에서 부동자금은 사상 처음으로 1100조원을 넘어섰다고 한다. 시중에는 돈이 넘쳐나는데 서민들은 한 푼이 급한, 돈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빚어지는 분위기다.

연체가 폭증하면 위기는 가계와 기업 등 경제주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악순환이 이어진다.

돈을 빌려준 은행 등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악화하고, 나아가 경제 시스템 전체에 위기가 전이된다. 누증하는 부실대출을 시한폭탄이라고 부르는 이유다. 과도한 대출 증가세는 필연적으로 부실을 낳을 수 밖에 없다.

안이하게 대응하다가는 금융위기의 어두운 터널로 빠져들 수 있다. 대출 부실이 갈 길 바쁜 경제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된다. 정부는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AI라이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